블로그 검색엔진 최적화 방법 구글, 네이버, 줌, 빙
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운영

블로그 검색엔진 최적화 방법 구글, 네이버, 줌, 빙

by uble 2023. 1. 20.
반응형

요즘에는 궁금한 점이 생기면 바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내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한다.

 

내가 쓴 글을 많은 사람에게 보여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블로그에서 글을 작성하다 보면 내가 작성한 글이 검색엔진에 잘 노출되는지 궁금할 것이다. 글을 게시하자마자 검색엔진에서 제목을 검색해 보아도 글이 보이지 않았던 경험을 해보았을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구글, 네이버, 줌(Zum), 빙(Bing)에서 내 글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각 검색엔진에 내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을 소개해보겠다.

 

 

1. 구글 서치 콘솔_ 구글에 블로그 등록하기

 

대한민국에서는 네이버 검색을 많이 하는 편이다. 필자도 블로그를 시작하기 전에는 주로 네이버를 사용했던 것 같다. 최근 10대들은 유튜브에서 검색을 자주 한다고 한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보면 구글 사용자가 더 많다. 네이버의 경우 대가를 받고 작성하는 글인 광고성 글이 많은 편이다. 필자는 정확성, 전문성, 신뢰도가 중요한 정보의 경우 구글에서 주로 검색하는 편이다.

 

구글의 경우 구글 서치 콘솔에서 블로그에 게시된 글을 등록할 수 있다. 구글 검색 최적화뿐 아니라 애드센스 승인 및 관리를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므로 반드시 하기를 추천한다. 

 

구글 서치 콘솔 바로 가기

 

 

 

구글 서치 콘솔_ html 태그

 

구글 서치 콘솔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환영 메시지와 함께 도메인 또는 URL 접두어를 입력하는 창이 보인다. 도메인을 따로 구매하였다면 도메인에 입력하지만 블로그를 이제 막 시작한 상태라면 URL 접두어에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입력한다. '계속' 버튼을 누르기 전에 블로그 주소에서 'https'의 's'가 잘 붙어 있는지, '.com'으로 끝났는지를 잘 확인해 보기 바랍니다.

 

소유권 확인 창이 뜬다. Html 태그를 누르고 제시된 메타 태그를 복사한 후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한다.

 

왼쪽 메뉴에서 꾸미기 아래에 있는 '스킨 편집'을 누른다. 오른쪽 위에 있는 'Html 편집' 버튼을 누른 후 <head>를 찾아서 엔터 키를 누르고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는다. 필자의 경우 <head>는 3번째 줄에 있다. 

 

 

 

만약 구글 서치 콘솔의 메타 태그를 복사해두지 못하였다면, 구글 웹 마스터 센터

 

구글 웹 마스터 센터_ 구글 서치 콘솔 html 태그 찾기구글 웹 마스터 센터_ 구글 서치 콘솔 html 태그 복사하기
구글 웹 마스터 센터_ 구글 서치 콘솔 html 태그

 

기존에 구글 서치 콘솔을 연결해두었거나 구글 서치 콘솔의 메타 태그를 복사하지 못하였다면 구글 웹 마스터 센터에 접속해 보자. 블로그 주소 옆에 있는 '확인 세부정보'를 누르고 '메타 태그' 옆에 '상세 정보'를 누르면 구글 서치 콘솔의 메타 태그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구글 웹 마스터 센터 바로 가기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_ 플러그인 > 구글 서치 콘솔 > 구글 계정 연결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화면에 접속한 후 왼쪽 메뉴에서 플러그인을 누른다. 플러그인 메뉴 중 구글 서치 콘솔을 클릭한 후 '계정 연결하기' 버튼을 누른다.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에서 플러그인을 누르고 구글 서치 콘솔에서 구글 계정 연결하기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_ 플러그인 > 구글 서치 콘솔 > 구글 계정 연결

 

블로그와 연결된 구글 계정을 선택한다. '티스토리에서 구글 계정에 대한 액세스 요청'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여러 가지 권한을 체크하는 창이 뜬다. 내용을 잘 읽고 모두 클릭하여 허용한다. '계속' 버튼을 누르면 '연결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확인' 버튼을 누르고 '구글 서치 콘솔에 블로그가 올바르게 등록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 아래에 있는 '적용' 버튼을 누른다. 연결이 완료되면 앞서 '계정 연결하기' 버튼이 '바로 가기'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바로 가기' 버튼을 눌러 구글 서치 콘솔로 이동한다.  

 

 

구글 서치 콘솔_ rss, sitemaps 등록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하면 왼쪽 상단에 연결된 블로그 주소가 보일 것이다. 왼쪽 메뉴에서 '색인' 아래에 있는 '사이트맵(sitemaps)'을 누른다.

 

구글 서치 콘솔_ rss&#44; sitemaps 등록
구글 서치 콘솔_ rss, sitemaps 등록

 

화면 가운데 '새 사이트맵 추가'가 있고, 블로그 주소가 있을 것이다. 해당 주소 끝에 'rss'를 입력한 후 '제출' 버튼을 누른다. 

다음으로 주소 입력 창에 'sitemap.xml'을 입력한 후 '제출' 버튼을 누른다.

 

상태가 '성공'으로 나타나면 RSS와 Sitemaps가 모두 등록된 것이다. 블로그의 글이 없다면 글의 게시한 후 다시 확인해 보길 권한다. 

 

 

구글 서치 콘솔_ URL 검사

구글 서치 콘솔에서 자주 사용하는 또 다른 기능으로 URL 검사가 있다. 내가 발행한 글을 구글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페이지 색인을 요청하는 기능이다. 페이지 색인이 생성되어야 구글에서 검색할 때 내 글이 노출된다.

 

따라서 글을 게시한 후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하여 URL 검사를 한 후 URL이 구글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나오면 '색인 생성 요청' 버튼을 눌러 페이지를 생성하기를 바란다.

 

구글 서치 콘솔_ URL 검사
구글 서치 콘솔_ URL 검사

 

필자의 경우 '예약 기능'을 활용하여 글을 게시하는 편이기에 일주일에 하루를 정하여 구글 서치 콘솔에서 게시한 글의 Url 검사를 한 번에 확인한다.

 

 

여기서 팁!

우리는 검색엔진에서 블로그 글이 잘 노출되도록 네이버와 빙에서도 URL 검사 및 제출을 할 것이다. 따라서 블로그에 게시된 각 글의 URL을 엑셀에 순서대로 정리해두길 추천한다. 블로그 글이 게시된 주소를 정리해 둔 파일을 보며 한 번에 구글, 네이버, 빙에서 URL 검사 및 제출한다면 더 간편하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2.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_ 네이버 등록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바로 가기

 

네이버에서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를 검색하고 사이트에 접속한다. 네이버 로그인을 한 후 오른쪽 위에 보이는 '웹 마스터 도구' 버튼을 누른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_ 웹 마스터 도구 로그인하기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_ 웹 마스터 도구에서 사이트 등록하기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_ 웹 마스터 도구에서 사이트 등록하기

 

사이트 동록 화면이 나오면 '내 블로그 주소'를 입력한다. 이때 관리자 화면의 주소가 아닌 '.com'으로 끝나는 주소를 입력해야 한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_ 태그 복사 후 티스토리에 적용하기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_ 태그 복사 후 티스토리에 적용하기

 

 

사이트 소유 확인 방법을 선택하라고 나온다. 두 번째에 있는 html 태그를 선택한 후 제시된 메타 태그를 복사한 후 티스토리 관리자 화면으로 이동한다.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_ 스킨 편집 > HTML 편집 > 태그 추가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에서 왼쪽 메뉴 중 '꾸미기' 아래에 있는 '스킨 편집'을 누른다. 오른쪽 위에 있는 'html 편집' 버튼을 누른다. html 태그는  <head>와 </head> 사이에 입력하면 된다. <head>로 시작하는 줄 바로 아래 엔터를 친 후 붙여넣는다.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_ 플러그인 > 메타 태그 등록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에서 '플러그인' 메뉴를 누른다.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_ 플러그인 &gt; 메타 태그 등록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_ 플러그인 > 메타 태그 등록

 

'메타 태그 등록'을 선택한 후 이름 입력란에 'naver-site- verification'를, 내용 입력란에 'contents' 뒤에 있는 큰따옴표 안의 내용을 입력한다. 아래쪽에 있는 '변경 사항 적용' 버튼을 누른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_ RSS, Sitemaps 등록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서 '소유 확인'을 누르면 사이트 목록에 내가 등록한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블로그 주소를 누르면 '웹 마스터 도구'의 '요약' 페이지가 나온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_ RSS 등록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_ Sitemaps 등록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_ RSS, Sitemaps 등록

 

왼쪽에 있는 '요청' 메뉴를 누른 후 RSS 제출 버튼을 클릭한다.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 뒤에 '/rss'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른다. 

 

왼쪽 메뉴에서 'RSS' 아래에 있는 '사이트맵 제출'을 선택한다. 사이트맵은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 뒤에 '/sitemap.xml'을 입력하면 된다. 입력이 완료되면 '확인' 버튼을 누른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_ URL 검사

 

구글 서치 콘솔과 마찬가지로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서도 URL 검사를 하고 웹페이지 수집을 요청할 수 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서 '웹 마스터 도구'를 클릭한다. 왼쪽 메뉴 중 '요청'을 누르고 '웹페이지 수집'을 선택한다. '수집 요청 URL 입력'에 티스토리 블로그에 게시한 글의 주소를 복사하여 붙여넣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처리 결과가 '요청 완료'라고 뜨고 난 후 시간이 지나면 '수집 성공'으로 바뀔 것이다. 이렇게 작업해 두면 좀 더 빠르게 네이버 검색엔진에 내 글이 노출된다. 

 

 

3. 줌(ZUM) 등록

 

줌(ZUM)에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ZUM 고객센터 바로 가기

 

 

zum 고객 센터_ 검색 서비스 사이트 등록
zum 고객 센터_ 검색 서비스 사이트 등록

 

ZUM 고객센터에 접속한 후 '검색 서비스' 메뉴를 누른다. 해당하는 탭을 누르고 신규 등록하면 된다.

 

필자는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할 것이므로 세 번째 탭에 있는 '사이트'를 선택하였다. 신규 등록 시 이메일 주소, 사이트 주소, 사이트명, 사이트 소개, 등록 사유를 입력한 후 '줌 개인 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를 누르고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면 끝이다.

 

블로그 글을 노출하고 싶다면'검색 서비스' 메뉴에서 첫 번째 '블로그' 탭을 누르고 '신규 등록'을 한다. 이메일과 제목, URL 주소, 내용을 입력한 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한 후 '보내기' 버튼을 누른다. 

 

 

4. 빙(bing) 등록

 

빙(bing)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검색엔진이다. 구글 서치 콘솔에 블로그를 연결해 두었다면 빙에서는 더 쉽고 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구글 서치 콘솔 연결 작업'을 완료하고 오기를 바란다. 

 

구글에서 '빙 웹 마스터 도구'를 검색한 후 접속한다. 

 

 

빙 웹 마스터 도구 바로 가기

 

빙 웹 마스터 도구_ 사이트 등록하기 1빙 웹 마스터 도구_ 사이트 등록하기 2
빙 웹 마스터 도구_ 사이트 등록하기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페이스북 중 편한 계정을 선택한다. 필자의 경우 티스토리에 사용하는 구글 계정을 선택하였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이미 인증되었다면 'GSC에서 사이트 가져오기' 버튼을 눌러 더 쉽고 간편하게 티스토리 블로그의 주소를 등록할 수 있다. '가져오기' 버튼을 누르면 설명창이 뜬다. 찬찬히 읽어본 후 하단의 '계속' 버튼을 누른다.

 

빙 웹 마스터 도구_ 사이트 등록하기 계정 액세스 허용
빙 웹 마스터 도구_ 사이트 등록하기 계정 액세스 허용

 

구글 계정을 선택하라고 한다. 티스토리에 사용하는 구글 계정을 선택한다. 'bing에서 구글 계정에 액세스하려고 한다'는 안내 창을 읽어본 후 '허용' 버튼을 누른다. 

 

 빙 웹 마스터 도구_ GSC에서 사이트 가져오기 빙 웹 마스터 도구_ 사이트 등록하기 완료
빙 웹 마스터 도구_ 사이트 등록하기 GSC에서 가져오기

 

구글 콘솔에서 발견된 사이트를 보여준다. 이를 선택한 후 '가져오기' 버튼을 누르면 사이트 등록이 완료된다.

 

빙(bing) URL 제출
빙(bing) URL 제출

 

빙은 구글, 네이버와 조금 다른 점이 있는데, URL 제출을 할 때 주소를 한 줄씩 띄워서 한 번에 여러 개를 동시에 제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URL 제출은 15시간당 100개까지 할 수 있다. 팁에서 이야기했던 엑셀 파일 정리를 해두었다면 한 번에 주소를 복사해서 붙여넣고 '제출' 버튼을 누르면 한 방에 끝낼 수 있다!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여 발행한 후 또는 주기적으로 구글 서치 콘솔,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빙 웹 마스터 도구에서 URL 검사 및 등록을 한다면 각 검색엔진에서 내 글을 쉽게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