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운영 방법으로 자동화 수익형과 수동화 이슈성이 있다. 수동화 이슈성 블로그를 운영하는 방법은 다양한 주제 중에서 많은 사람이 관심을 두는 주제로 글을 작성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방문자를 유입하는 것이다. 많은 방문자를 유입하려면 어떤 소재로 글을 작성해야 하는지 소개해보겠다.
SNS 게시판에 글 공유하기
평소 SNS를 하는 사람이라면 네이버 밴드, 네이버 카페, 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많이 이용해 보았을 것이다. 글 주제와 관련 있는 카페에 가입한 후 내가 작성한 글과 관련된 질문이 있다면 답글 등에 링크를 남기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을 실행한다면 엑셀에 내가 작성한 글을 공유할 SNS 게시판 주소를 리스트로 만들어 두고 활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여기서 주소 링크를 카페 대문 주소가 아닌 게시판 주소로 리스트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SNS 플랫폼마다 이용하는 대상의 취향과 성향을 고려하여 글을 공유하면 좋다.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주로 10대와 20대, 네이버 카페는 20대와 30대, 네이버 밴드는 40대 이상이 주로 사용한다고 한다. 대상의 나이가 많을수록 정보성 글을 선호한다. 광고에 대한 거부감이 적으며 정보 공유 활동이 활발한 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플랫폼별 사용자의 특징은 참고사항이며 여러 연령대가 혼합된 경우도 많으므로 SNS의 글을 살펴보며 어떤 글과 주제를 선호하는지 확인하고 이를 리스트에 정리한 후 활용하길 권장한다.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네이버 주소로 바꾸기_ 네이버 QR코드
사람들은 낯선 주소에 거부감을 느낀다. 네이버에 링크를 남길 때는 내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네이버 주소로 바꾸어 게시하는 것이 좋다.
네이버 QR코드를 검색한 후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나만의 QR코드 만들기 버튼을 누른다.
코드 제목에 내가 알아볼 수 있도록 블로그 제목을 입력한다. 추가 옵션을 '사용 안 함'으로 선택한 후 다음 단계 버튼을 누른다.
추가 정보 입력에서 '링크로 바로 이동' 버튼을 누르고 '웹 주소 직접 입력'을 선택하여 내가 공유하고자 하는 티스토리 블로그의 글 주소를 입력한 후 '작성 완료' 버튼을 누른다. 코드 URL을 복사하고 이를 공유한다.
실시간 검색어 사이트 활용_ 시그널 실시간 검색어, 티스워드, 구글 트렌드, 줌, 네이트
만약 SNS에 공유하는 것이 어렵다면 '실시간 검색어'를 활용하는 것도 좋다. 사용자가 가장 많이 검색하는 키워드를 알려주는 실시간 검색어 사이트 5가지를 소개하겠다.
1. 시그널 실시간 검색어
2. 티스워드 실시간 이슈 검색어
3. 구글 트렌드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
4. 줌 실시간 검색어
5. 네이트 실시간 이슈 키워드
줌과 네이트는 접속하면 검색엔진 첫 화면의 우측에 실시간 검색어, 실시간 이슈 키워드가 제시되어 있다. 줌의 경우 돋보기 창 근처로 마우스를 옮기면 1위부터 10위까지 모두 볼 수 있어 편리하다. 네이트의 경우 일정한 간격으로 1~5위, 6~10위를 볼 수 있다.
수동화 이슈성 블로그 운영은 검색 유입으로 방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저품질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최대한 많은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방문자를 내 글로 유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짧은 시간에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람들의 관심 주제가 계속해서 변하다 보니 한번 작성해 둔 글에 재방문하는 경우가 드문 편이다. 그래도 키워드 없이 작성한 글보다는 장점이 많으므로 한 번쯤 시도해 보길 권한다.
꾸준히 수익을 내는 사람들은 블로그를 하는 정확한 목표와 이유가 있다. 지금 당장 글 쓰는 것이 어렵거나 수익이 나지 않더라도 더 큰 미래를 보며 성실하게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스스로 잘할 수 있다는 응원과 격려를 하며 이 글을 읽는 모든 사람의 꿈이 하루빨리 이뤄지기를 바란다.
'블로그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티스토리 초기 광고 설정 (8) | 2023.01.23 |
---|---|
카카오뷰 채널 만들기, 블로그 방문자, 조회수 늘리기 (6) | 2023.01.23 |
블로그 글쓰기 키워드 수익형 찾기 (0) | 2023.01.22 |
수익형 블로그 글쓰기 방법 (0) | 2023.01.21 |
블로그 자동화 수익 만들기 (2) | 2023.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