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인 광고 설정에 익숙해졌다면 조금 더 애드센스 광고를 활용하여 수익성을 높여보자. 광고 상단은 클릭률이 높으므로 최상단의 광고가 원활하게 송출되는 것이 중요하다. 티스토리 광고 설정은 쉽고 편하지만, 광고의 로딩 속도가 늦은 편이라 광고가 로딩되기 전에 지나칠 확률이 높다.
따라서 티스토리보다는 구글 애드센스 광고를 활용하여 빠르게 로딩되는 광고를 게시해 보자. 수동 광고를 설정해 보는 방법을 소개해보겠다.
참고로 구글 애드센스에서 자동 광고를 설정한 후 수동 광고를 추가하면 광고가 너무 많아지므로 수동 광고 설정이 익숙해졌다면 자동 광고 기능 중 몇 가지 설정은 제외하는 것이 좋다.
구글 애드센스_ 광고 단위 세분화하기
구글 애드센스에 접속하여 '광고' 메뉴를 누르고 두 번째 탭에 있는 '광고 단위 기준'을 선택한다. '신규 광고 단위 만들기'에서 '디스플레이 광고', '콘텐츠 내 자동 삽입 광고', '멀티플렉스 광고'를 눌러 위치에 따른 여러 종류의 광고를 만든다.
< 여러 종류의 광고 만들기 예시 >
- 디스플레이 반응형 상단
- 디스플레이 사각고정형 하단
- 디스플레이 수평반응형 상단
- 콘텐츠 내 자동 삽입 광고 1
- 콘텐츠 내 자동 삽입 광고 2
- 멀티플렉스 반응형
- 멀티플렉스 고정형
광고 단위를 세분화하여 나누는 이유는 추후 수익이 가장 좋은 유형의 광고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간편하게 수동 광고를 글에 넣는 방법_ 티스토리 글쓰기 서식 활용하기
구글 애드센스에서 '광고'를 선택하고 '광고 단위 기준'을 누르면 기존에 만들어 둔 광고 단위가 아래쪽에 보일 것이다. 코드 가져오기 아이콘 '<>'을 누른 후 파란색 '코드 복사'와 '완료' 버튼을 차례로 클릭한다.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에서 콘텐츠 메뉴의 '서식 관리'를 누른다. 오른쪽 위에 있는 '서식 쓰기'를 클릭한다.
기본 모드를 누르고 HTML로 바꾼다. 복사한 광고 코드를 붙여 넣는다.
광고의 위치를 가운데로 설정하여 광고의 크기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광고 코드 위에 <center>를, 광고 코드 아래 </center>를 입력한다. 광고 코드가 깨지지 않게 보호하기 위하여 광고 코드 위에 <div>를, 광고 코드 아래 </div>를 입력하면 더 좋다.
반응형 광고의 경우 data-full-width-responsive="true"에서 true를 false로 바꾼다.
코드 가운데 애드센스 광고명이 보일 것이다. 이를 복사하여 제목에 붙여 넣고 아래쪽에 보이는 '완료' 버튼을 누른다.
광고 단위별로 서식에 저장해 둔다.
글쓰기 상단 메뉴바 끝에 보면, 점 3개(더 보기) 아이콘이 있다. 아이콘을 누르고 서식 메뉴를 클릭한다. 서식 중 원하는 광고명을 클릭하면 광고가 삽입된다.
글을 쓸 때 광고 넣을 곳을 미리 표시해 두면 찾기 편하다. ㅁ이나 ㅇ과 같이 입력하기 쉬우며 눈에 잘 보이는 자음으로 표시하는 것을 권한다. 글을 다 작성한 후 서식을 사용하여 제일 마지막에 광고를 추가하는 것이 좋다.
글과 관련된 링크 남겨두기_ 링크 광고 활용
글을 작성하다 보면 관련 사이트를 링크로 남겨두는 경우가 꽤 많다. 더 편리하게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것인데 링크 광고를 활용하면 수익이 더 향상되므로 링크를 남길 때 이미지화하여 바로 가기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미리캔버스에서 링크 모양의 이미지를 만든 후 이미지에 링크를 삽입하여 바로 가기를 설정해 보자.
필자의 경우 이 작업은 별도로 하지 않고 있다. 대신 링크 삽입 시 URL 아래 칸에 대체 텍스트 입력은 꼭 한다.
앵커 광고 위치 바꾸기
앵커 광고의 위치는 기본 설정이 위쪽으로 되어 있다. 이를 아래로 바꾸어 보다 광고를 쉽게 클릭할 수 있게 한다.
앵커 광고 코드를 다운로드한 후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에 접속한다. '꾸미기' 메뉴 아래에 있는 '스킨 편집'을 누른다. HTML 편집을 누르고 3번째 줄의 <head> 다음에 엔터를 누르고 앵커 광고 코드를 붙여 넣는다.
코드 중간에 "ca-pub-1234567891234567"이라고 적혀 있는 곳이 2군데 있을 것이다. 코드의 첫 번째 줄과 세 번째 줄의 숫자를 더블 클릭하여 본인의 펍 번호로 수정한 후 '적용' 버튼을 누른다.
펍 코드를 확인하는 방법은 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주소창을 보면 주소 중간에 'pub-숫자'가 적혀있을 것이다. 여기서 숫자를 복사하여 앵커 광고 코드 중간에 있는 숫자를 수정하면 된다.
구글 애드센스_ 보고서 광고 단위
애드센스 메뉴에서 '보고서'를 누르고 '광고 단위'를 선택하면 어떤 광고 단위의 수익이 높은지 확인할 수 있다.
구글 애드센스- 보고서 맞춤 채널 광고 유형별 묶어 보기
구글 애드센스에서 '보고서' 메뉴를 선택한 후 '맞춤 채널'을 선택한다. '맞춤 채널' 오른쪽 위에 있는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누르고 '맞춤 채널 관리'를 클릭한다. 채널 추가 버튼을 누르면 앞서 세분화한 광고 단위를 볼 수 있다. 모두 선택한 후 저장한다.
보고서에서 맞춤 채널을 선택하면 어떤 광고 유형이 가장 높은 수익을 주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블로그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한번만 설정하면 되는 수동 광고 (14) | 2023.02.04 |
---|---|
구글 애드센스 승인 18일 만에 받은 후기 (30) | 2023.02.02 |
구글 애드센스, 티스토리 초기 광고 설정 (8) | 2023.01.23 |
카카오뷰 채널 만들기, 블로그 방문자, 조회수 늘리기 (6) | 2023.01.23 |
블로그 단기간 방문자수 늘리기, 수동화 이슈성 글쓰기 (2) | 2023.01.22 |
댓글